과점시장의 성격
우리가 많이 소비하는 자동차, 아이스크림, TV, 운동화, 휴대폰 등과 같은 상품들이 거래되는 시장을 살펴보면 거의 모두가 소수의 기업들이 상품을 생산, 공급하는 과점의 형태를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자동차 공급 기업들을 생각해 보면 손에 꼽을 수 있는데요. 우리나라뿐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도 이와 같은 현상을 발견할 수 있는데요. 과점시장은 현대 경제의 가장 중요한 시장 형태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과점시장에는 상당한 정도의 진입장벽이 존재하고 있는데요. 독점 시장만큼 강력한 진입장벽은 아니라 할지라도 어느 정도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진입장벽이 존재하기 때문에 과점체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됩니다. 진입장벽이 만들어지는 이유는 독점 시장의 경우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과점시장은 소수의 기업들이 경쟁하는 체제이기 때문에 각 기업은 상대방의 반응에 많은 신경을 써야 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이 상품 가격을 내릴 것인지 고려할 때는 경쟁 상대가 어떻게 반응할 것인지를 반드시 생각하게 됩니다. 과점시장에는 이렇게 상대방의 반응을 고려해 자신의 행동을 결정해야 하는 전략적 상황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론화하기에 특히 어려움이 많은데요. 이때 전략적 상황이란 경쟁 상대가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그의 반응을 고려해 자신의 행동을 결정해야 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과점시장의 특성을 설명해 줄 이렇다 할 이론이 존재하지 않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입니다.
과점시장에서는 한 기업이 취한 행동이 경쟁기업의 민감한 반응을 불러일으켜 급기야 심각한 상황으로 치달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기업의 일방적인 가격 인하로 인해 시장 전체가 걷잡을 수 없는 가격전쟁에 빠져들 가능성이 상당히 큽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경쟁기업들이 일방적인 행동을 삼가고 서로에게 위협이 될 수 있는 일을 애써 피하려고 노력하는 분위기가 형성되는데요. 다시 말해 과점시장에서는 기업들 사이에 담합이 이루어지기 좋은 상황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과점시장이론의 세 가지 범주
과점시장 안의 기업들이 언제나 담합을 할 것이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담합이 일어나기 좋은 조건은 맞지만 각 기업이 독자적인 행동을 하기로 결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기업들 사이에서 담합이 이루어지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따라 과점시장의 형태가 달라지게 됩니다. 따라서 담합이 이뤄진다고 볼 때의 과점시장 이론과 이뤄지지 않는다고 볼 때의 과점시장 이론은 그 내용이 서로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과점시장에 관한 이론들은 담합이 이뤄진다고 보는지의 여부에 따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범주로 나눠질 수 있습니다.
하나. 각 기업이 독자적인 행동을 한다고 보는 모형
둘. 암묵적인 담합체제를 형성한다고 보는 모형
셋. 완전한 담합을 이룬다고 보는 모형
기업들이 담합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행동한다는 가정하에서 과점시장의 행태를 분석하는 모형의 예로 꾸르노 모형, 베르뜨랑 모형, 굴절수요곡선의 모형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이 모형들은 각 기업이 자신의 행동에 대한 경쟁기업의 반응을 추측하고 어떤 행동을 취할 것인지를 결정한다고 보는 점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형마다 경쟁기업의 반응에 대한 추측의 내용이 다르고 바로 이 차이에서 분석 결과의 차이가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꾸르노 모형에서의 추측 내용은 경쟁기업이 현재의 생산량을 그대로 유지하리라는 것이 된다. 이는 과점시장 안의 기업들이 상품 생산량을 경쟁 수단으로 삼는다고 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에 비해 베르뜨랑 모형과 굴절수요곡선 모형은 가격을 주요 경쟁 수단으로 삼는 과점시장을 상정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두 모형은 경쟁기업이 가격을 어떻게 조정할 것인지에 대한 추측의 내용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베르뜨랑 모형은 각 기업이 경쟁기업은 현재 가격을 그대로 유지하리라고 추측한다는 가정이 모형의 핵심을 이루고 있습니다. 반면 굴절수요곡선의 모형은 가격을 올릴 때와 내릴 때 경쟁기업의 반응이 달라질 것이라고 추측한다는 가정에 기초해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말해 자신이 가격을 올리면 경쟁기업은 현재의 가격을 그대로 유지하는 한편, 가격을 내리면 경쟁기업도 따라서 내릴 것으로 추측한다는 것인데요. 그렇기 때문에 과점시장 안의 기업은 굴절이 있는, 즉 꺾인 모양의 수요곡선에 직면해 있다고 보는 것이 이 모형의 특징입니다. 바로 이 이유 때문에 굴절수요곡선의 모형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입니다.
다시 말해 꾸르노 모형, 베르뜨랑 모형, 굴절수요곡선의 모형은 과점시장 안의 기업들이 독자적인 행동을 한다는 가정에서 출발하는 이론이라고 정리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범주에 속하는 모형에는 가격선도의 모형이 있습니다. 이 모형은 과점시장 안의 기업들이 암묵적인 담합 체제를 형성한다고 보는 모형인데요. 이 모형은 과점시장 안의 한 기업이 가격을 설정해 좋으면 다른 기업들이 이에 따르는 형태로 암묵적인 담합이 이뤄진다고 설명하고 있는데요.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기업이 지도자의 역할을 맡아 시장을 평화스럽게 이끌어 나가자는 무언의 약속을 맺는다고 보는 것이 이 모형의 특징입니다.
세 번째 범주에 속하는 모형의 예는 카르텔의 모형을 들 수 있습니다. 과점시장 안의 기업들이 완전한 담합을 이루어 마치 거대한 독점기업처럼 행동한다고 보는데요. 카르텔은 독점기업과 거의 비슷한 방법으로 카르텔 전체의 이윤 극대화를 시도하게 된다. 그런데 카르텔 전체의 생산 목표량을 결정한 다음에는 이를 가맹기업들 상에서 어떻게 배분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합니다. 즉 어떤 기업이 얼마 만큼씩 생산하도록 할당할 것인지에 대해 합의를 봐야 하는데 이 문제를 둘러싸고 가맹기업들 사이에 갈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카르텔이 원천적 취약성을 갖는다는 것은 그동안 수없이 많은 카르텔이 형성되었다가 얼마 되지 않아 사라져 버린 역사가 생생하게 증언하고 있습니다.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학에서 만날 수 있는 게임과 전략! (0) | 2022.06.25 |
---|---|
독점 경쟁 시장의 성격과 자원배분의 특징 알기! (0) | 2022.06.23 |
가격을 차별한다고? 가격차별의 의미 (0) | 2022.06.22 |
시장에서 불완전경쟁이 나타나는 이유는? (0) | 2022.06.21 |
독점 시장의 성격부터 경제적 효과까지! (0) | 2022.06.21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