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8 빈곤의 문제와 빈곤도의 측정 방식에 대한 이해 분배의 불평등이 가져오는 가장 심각한 문제는 사회의 일각에 의식주마저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는 빈곤한 사람들이 많이 만들어진다는 사실입니다. 빈 곳은 언제 어디서든 존재하는 보편적인 현상이지만 소득이 불평등하게 분배될 때 그 심각성이 특히 커지게 된다. 이 절에서는 빈곤이란 현상의 여러 측면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빈곤의 정의 빈곤이란 인간다운 생활을 하기에 충분한 소득을 얻지 못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정확하게 빈곤이 무엇인지에 대해, 즉 어떤 생활이 빈곤한 사람의 생활인지에 대해서는 사람마다 생각이 다를 수 있습니다. 더군다나 빈곤에 대한 인식은 사회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어 문제가 더욱 어려워지는 것인데요. 예를 들어 미국에서 아주 가난한 생활을 하고 있는 사람이라도 소말리아의 기준으.. 2022. 7. 5. 불평등도의 측정 : 로렌츠 곡선과 지니계수 어떤 사회의 분배 상태가 얼마나 불평등한지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을까요? 구체적인 측정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일단 이를 확인하기 전에 평등에 대한 의미를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습니다. 평등성의 의미 앞서 설명했듯이 우리가 궁극적으로 관심을 갖는 것은 과연 소득이 공평하게 분배되고 있는지, 되었는지에 대한 여부입니다. 그러나 공평성은 여러 가지 측면을 모두 감안해서 정의해야 하는 매우 복합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한 마디로 정의를 내리기란 굉장히 어렵습니다. 공평성이라는 말을 평등성으로 바꾸어 표현하면 조금은 더 객관적으로 정의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평등성 역시 모든 사람의 소득이 균등하게 분배되었다는 것 이상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기 때문에 아직도 문제가 완벽하게 해결된 것은 아닙니다. 불.. 2022. 7. 4. 우리가 잘 모르는 소득분배의 현실! 분배의 문제를 다룰 때 소득의 분배에만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중요한 것은 경제적 복지의 분배이며 따라서 소득뿐 아니라 소비수준이나 재산같이 경제적 복지와 관련이 있는 모든 것의 분배 상태에도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단지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쉽고 경제적 복지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졌다는 의미에서 소득분배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공평한 분배의 문제 한 경제에서 주어진 자원을 활용해 최대한의 경제적 복지를 누릴 수 있기 위해서는 우선 그 자원이 효율적으로 배분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자원이 효율적으로 배분되었다고 해서 모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닌데요. 생산된 거들이 사람들 사이에서 불공평하게 나누어져 기분적인 의식주마저 해결하기 힘든 사.. 2022. 7. 3. 이윤의 원천과 그 역할은 무엇일까요? 이윤의 원천 이윤의 원천에 대해 살펴보기 전에 이윤에 대해서 다시 한번 짚어볼까 합니다. 이윤은 어떤 형태로든 진행한 경제활동을 통해 얻은 총 수입에서 임금·이자·지대·감가상각비 등의 비용을 빼고 남는 순이익을 의미합니다. 임금이 노동에 대한 보수이며 지대가 토지에 대한 보수인 것처럼 이윤은 기업가적 노력에 대한 보수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기업가적 노력은 사업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입할 수 있는 비전, 창의성, 용기를 갖춘 사람이 기울이는 노력을 의미합니다. 진정한 의미에서의 기업가는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사업가와는 다른데요. 단순히 기업을 경영한다고 해서 기업가가 되는 것이 아니고, 특별한 자질을 갖추고 있어야 비로소 기업가라고 부를 수 있는 것입니다. 진정한 기업가는 사업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입.. 2022. 7. 2. 이전 1 2 3 4 5 6 7 ··· 10 다음